언어영역 풀다 질문이 생겼습니당 ㅠ_ㅠ

2010.10.01

꼬부기1004 조회 수:6028

[21~2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경제ㆍ사회 발전의 과정에서 경제적 자원과 활동의 집적이나 집중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불균형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많다. 예컨대 경제ㆍ사회 발전은 열심히 하는 경제 주체에게 더 많은 자원의 집적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경제ㆍ사회 발전이 심화될수록 부의 분배가 더 불평등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지위크는 경제적 차별화에 따른 분배, 즉 각자가 자신이 이뤄낸 성과에 부합하는 보상을 받는 분배는 정의롭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차별화 패러다임 하에서 상대적으로 뒤떨어질 수밖에 없는 소위 음지의 사람들에 대한 배려는 없어도 좋다는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그렇지 않다’일 뿐만 아니라 인간은 그렇게 해서는 안 되는 존재라고 할 수밖에 없다. 아담 스미스의 ‘동정과 자비’, 존 롤스의 ‘가장 어려운 처지의 공동체 구성원에 대한 배려’는 사회 공동체의 존속을 위한 불가피한 도덕적 명령이다. 따라서 복지정책이 없는 국가를 상정할 수는 없다.

국민의 복지를 위한 정부 개입의 정도는 시대나 상황의 요구에 따라 달랐다. 나치 독일의 전쟁국가에 대한 대립 개념으로 등장한 복지국가는 1942년 <베버리지보고서>에 의해 ‘요람에서 무덤까지’ 개인의 복지를 국가가 책임진다는 개념으로 정착되었다. 즉 복지국가란 일반 국민들에게 최저 소득의 보장, 사회 안전망의 제공, 최상의 사회 서비스의 보장 등을 위한 목적으로 국가가 개입하는 한 형태를 지칭한다. 제2 차 세계대전 이후 선진국에서는 사회주의 국가와의 대결 과정에서 이러한 복지 지출의 과다로 복지병에 시달린 경험이 많아 최근에는 복지국가 개념이 크게 쇠퇴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 소득이 높은 북유럽의 국가들은 여전히 높은 수준의 복지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결국 복지의 정도는 국가의 경제력 유무에 달려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복지의 정도가 아니라 ㉠어떠한 복지제도가 지속가능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앞에서 언급한 시지위크의 경제적 차별화에서 해법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무리 강한 경제에서 출발하여 복지국가를 지향한다 하더라도 발전의 기본 원리인 차별화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복지가 시행된다면 경제 자체의 발전이 잠식됨으로써 복지국가의 지속가능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나타나게 된다.

첫째, 복지를 위한 재원의 조달 과정에서 스스로 노력하는 자들에게 지나치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게 되면 차별화 원리에 훼손이 오고 나아가 경제ㆍ사회 발전의 역동성이 약화된다. 둘째, 복지의 지출 방식이 단지 ‘그늘진 환경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지원하게 될 때 도덕적 해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건강한 노동력을 보유한 계층이 단지 그늘진 계층이라는 이유만으로 지원을 받게 되면 그 계층에 계속 안주하려는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보다 형편이 더 나은 계층으로 하여금 그늘진 계층으로 내려가게 하는 또 다른 형태의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경제의 역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복지국가로서의 기능을 다하려면 다음의 방식이 매우 유용하다. 즉, 복지 재원 조달방식이 스스로 노력하는 자들을 역차별할 정도로 지나치게 고율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과, 복지제도가 음지에 있는 사람들을 양지로 이끌어내는 데 그 근본 목적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복지 지출은 자력갱생의 길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스스로 돕는 자’가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을 더 우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2. 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에 대한 정책을 수립한다고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납부 세금이 많으면 복지 혜택도 많이 받도록 한다.

② 장기 근속 근로자를 위한 각종 복지 혜택을 강화한다.

③ 복지 재원의 조달 과정에서 ‘차별화의 원리’를 적용한다.

④ 저소득층에게 다양한 사회적 일자리를 만들어 공급한다.

⑤ 저소득 근로자에게 세금 감면의 방식으로 생계비를 보조한다.

 

 

2번에서 제가 답을 5번했는데, 그 이유가 위글의 논지는 음에 있는 사람들을 양지로 이끄는,

즉, 스스롭게 만든다는 논지 였는데,

과연 5에 나온것처럼 세금 간면의 방식이 성립가능한가요?

저는 세금 감면이 음에서 머무는 방식이라고 생각하고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거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교재 오류에 대해서만 답변합니다. 정보원장 2018.01.15 309333
공지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정보원장 2017.07.17 533282
공지 국어정보원 독자회원 인증 안내 정보원장 2016.03.07 378987
공지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정보원장 2016.01.08 543631
공지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정보원장 2015.07.15 452269
공지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정보원장 2013.12.16 481927
1532 7~9강은 강의를 들어도 잘 와닿지가않는것같아여.. [1] 템라 2010.06.10 8794
1531 시적정의님 나쁜언어에 대해서 궁금한거 몇가지 [1] 개간지 2010.02.23 8796
1530 나쁜국어 공부법. [2] ㅇㅇㅇㅇ 2016.01.07 8807
1529 '이건 왜틀렸지?' 하는 문제들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2] 수능대박~! 2010.09.05 8811
1528 나쁜국어 독해기술 112p 5번 오류 [1] 고그마한조구마 2021.07.08 8812
1527 국정보 10주년 특별판 출간되었습니다. [2] 정보원장 2017.02.15 8815
1526 현재까지의 회원 인증을 완료하였습니다 정보원장 2010.04.02 8817
1525 대장님 4월모의 해설해주실생각 없으신가요 [4] 템라 2010.04.13 8818
1524 질문 [1] 똥얌꿍 2010.08.08 8821
1523 나쁜언어 333p 해설 이해가 안되요ㅕ [1] 템라 2010.02.21 8824
1522 엊그제 본 3월 모의 질문요. [1] SuperMonarch 2010.03.14 8827
1521 개념어사전 받음 [1] 핏불 2010.02.23 8828
1520 남은 한달간 뭘해야될까요? [1] 수능대박~! 2010.10.11 8829
1519 뭔가를 깨우쳤다는 느낌을 받은순간,,, 언어만점자 2010.07.09 8830
1518 시적정의님 질문이요~ [1] 뽀소뽜레 2010.03.11 8833
1517 국정보 p71 Day 03 예제 02 질문 있습니다!! [2] economy1110 2021.08.05 8836
1516 현재 고3인데 지금부터 봐도 안 늦을까요? [2] 언포고3 2010.04.19 8846
1515 국정보가 정답입니다. [1] 태엽 2020.01.30 8846
1514 언정보를 먼저 봤는데요 ㅠㅠ [1] 알몽 2010.02.04 8857
1513 나국독 질문있습니다! [3] 백운재 2021.01.26 88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