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p문제에서요 책에서 설명해 주신거 말고 한 상품만 광고했는데도 광고효과가 낮다 이게 와슨의 카드 선택이론에 부합하는거 아닌가요?
자유게시판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를 통한 수능 국어영역 공부 논의
-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
나쁜언어 공략법
-
언정보 152p질문이요
-
정말급해요 나쁜언어공략법 진도!
-
질문이랑 조언좀 부탁드릴게요 ㅠㅠ
-
앞으로의 공부법에 대해.
-
비문학질문좀요
-
비문학 구조질문
-
언정보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요
-
언정보를 구매하면 영단어책을 증정한다고 하여 소개해드립니다.
-
질문좀요
-
질문이 있는데요 공부법
-
나쁜언어 공략법 질문
-
나쁜언어 공략법 품절
-
나쁜언어 공략법 p219 케이스 3번 질문
-
나쁜언어 공략법 질문합니다
-
정말많이기다리고잇어요....아ㅠㅠ방학다되가는대,.,
-
2013 수능 치르는데...
-
나쁜언어 공략법 질문
-
개정 관련 질문
-
6차 문제들은 어떡해야하죠???
글에서 하는 주장이 "한 상품만 광고해야 광고효과가 높다, 중복 출연하면 광고효과가 낮다."인데요. 이 두 말이 같은 말이죠.
왜 같냐면,
맨 앞의 카드 설명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카드 설명은 모음이 있으면 짝수가 있고, 자음이 있어도 짝수가 있을 수 있는데,
이 문제의 논리는 "한 상품만 광고(해야)" 이니까, 1. 한 상품만 광고해야 성공한다. 2. 한 상품 이상 광고해야 성공한다 이 두 개가 양립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두 문장이 같은 논리라고 생각합니다.
책의 설명은 말씀해주신 논리대로 "중복 출연해도 광고효과가 높다" 로 써 있으니까, 앞은 고정한 상태로 뒤만 바꾸는 식으로 카드 문제와 같구요.
그런 의미에서 써 주신 것은 한 상품만 광고 했는데도 광고 효과가 낮다라는 것인데, 낮다라는 것은 결국 상대적인 의미이구요, 이것은 중복 광고한 것보다 광고효과가 낮다는 말이 됩니다.
중복 광고해도 광고효과가 높을 수 있다는 책의 설명과 같은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