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국어 독해기술 7th edition 해설 오류
2020.02.20
P.191에 나오는 지문에서 단분자층 형성 시간은 시료의 표면과 충돌한 기체 분자들이 표면에 달라붙을 확률, 단위 면적당 기체 분자의 충돌 빈수, 기체 분자의 질량, 기체의 압력, 이 4가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문제 2번의 해설 중 ‘우선,~’ 이 단락에서 보기 5번의 내용이 반대로(즉, E의 기체 분자 충돌 빈도가 D보다 높다는 게 아니라 D가 E보다 높다.)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D와 E는 기체 분자의 충돌 빈수와 분자의 질량 둘 다 다릅니다. D보다 E가 분자의 질량이 더 크지만 아직 기체 분자의 충돌 빈수를 모르니 단분자층 형성 시간이 D와 E중에 어떤 게 더 긴 지는 모릅니다. 그러므로 D와 E의 기체 분자 충돌 빈수는 비교할 수 없다고 판단됩니다.
댓글 3
-
저도 이 문제 풀 때, 질문자님이랑 동일한 사고로 문제를 풀었거든요. 시간을 결정하는 변수가 질량과 빈도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질량만 가지고는 시간을 결정할 수 없으니, 결국 빈도를 비교할 수 없다고요.
그런데, 계속 생각해봤는데,
애초에 문제에서 제시되지 않은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고 했잖아요. 이걸 생각해서 동일하다고 전제된 걸 다르다고 말한 것 자체가 오류다 라고 해서 접근하는 것은 너무 허황된 것일까요? 4번 선지 해결할 때도, 빈도는 같다고 전제하고 옳은 것으로 판단하는것이지 않나요?
-
가령 슈퍼문 문제 같은 건 열심히 고민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이 문제는 그냥 삭제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모든 문제가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좀 더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좋겠죠?
좋은 질문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문제는 여러 가지 이슈가 있었던 거 같네요.
찾아보니 다양한 방식의 결론이 있습니다. (유명 학원강사 사이에서도 각기 의견이 다른 듯)
물론 가장 메이저 해설 같은 경우에는 나쁜국어와 같은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EBS 등).
다만 저도 오늘 다시 잘 생각해 보니 이 문제는 애매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구요.
해당 5번 해설은 지워버리고 생각하지 않으셔도 무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추후 인쇄하게 될 경우 해당 해설을 삭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 여러 가지 생각은 해 봤는데요,
가령 단분자층 형성시간이라는 개념 자체를 생각해 보면 결국 분자가 시료에 붙는 겁니다.
즉, 붙는다는 활동에 대한 핵심 조건은 달라붙을 확률과 충돌 빈도입니다.
그런데 그 아래에서는 기체 운동론을 이야기합니다.
기체 운동론에 따른 조건들은 '기체 운동'에 대한 설명이라 보입니다.
제 생각이지만 충돌 빈도는 기체 운동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체가 움직여야 충돌을 하니까요.
다만 주어진 문장만으로는 위와 같은 상관관계를 정확히 파악했다 할 수 없고
과학적 지식과도 일치하는지 제가 확인할 수 없으니 위와 같이 해설을 고치기는 어렵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