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752 댓글 4

정확히는 p51 ,11번 문제 입니다.

 

반사회성이 없다면(없어도)→ 재능 계발 될 수 있다(될 수도 있다)

 

여기까지는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그 옆에 즉,사회성만으로도(=반사회성이 없어도)

 

여기가 이해가 안됩니다. 왜 조건부에서 반사회성이 없는 것과 사회성이 있는 것이 결과부에서 같은 결과가 나오는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거에 대해서 찾아봤더니 시적정의 님이 반론이란 이런거라고 설명해주셨는데요.

 

가령 열심히 공부하면 성공한다는 것을 비판하고자 할 때는

열심히 공부해도 성공하지 않을 수 있다라고 되어야지.

열심히 공부하지 않아도 성공한다고 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부분은 이해가 가는데 제가 물은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미치겠네요 ㅡ.ㅜ

 

저것처럼 적절한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주시거나 좀더 이해력이 부족한 학생에게 더 이해가 갈 수 있도록

 

설명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시적정의님 감사합니다^^





Comment '4'
  • 정보원장 2010.09.01

    아 그런거요?

     

    그런 논리스타일의 문제가 이번에 6월 평가원에 나온 것을 확인하고

    나쁜언어 적용편에 예제 및 유제 문제를 많이 넣고 다양한 예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래가지고 제가 요기다가 설명을 해드리기가 뭐하네요.

    책으로 나온걸 또 설명하면 좀 그러잖아요. 양해말씀을 드려요~

    궁금하면 그 부분만 서점에서 찾아보셔도 이해가 확실히 될 겁니다.

  • reposenap 2010.09.03

    '인간에게 이러한 반사회성이 없다면, 인간의 몯느 재능은 꽃피지 못하고 만족감과 사랑으로 가득찬 목가적인 삶 속에서 영원히 묻혀 버리고 말 것이다.'

     

     

    언정보에는 심플하게 'if ~하면(해도), ~아닐 수 있다.' 라고 써 있는데,

    이걸 좀 길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A는(=A한다면, A라면, A일 때는 등) B이다'를 부정하는 문장은

    'A인데도 B가 아니다.'입니다.

     

    그럼, 반론하고자 하는 원래 내용인 ㉠을 요약해 보면

    a : ‘반사회성이 없다면 / 재능을 펼치지 못할 것이다.’

    b : ‘반사회성이 있어야 / 재능을 펼칠 수 있다.’ 이잖아요.

    (a는 부정문, b는 긍정문이라는 차이일 뿐, 둘 다 같은 문장이라는 건 아시겠죠?)

    그럼, 이걸 위의 설명대로 부정해 본다면?

     

    a : ‘반사회성이 없는데도 / 재능을 펼쳤다

    b : ‘반사회성이 있는데도 / 재능을 펼칠 수 없다.’ 겠죠?

     

    그럼 이제 위의 두 내용과 합치하는 선택지를 고르시면 됩니다.

    그와 같은 내용은 ③번의 내용인 거죠.

    ③ 사회성만으로도 재능이 계발될 수 있다. = a : 반사회성이 없는데도 재능을 펼쳤다.

     

    나머지 선택지들은 ㉠에 대한 반론이 되지 못합니다.

    전혀 딴소리를 하고 있어요.

    만약에 토론회 같은 데서 누가 ㉠과 같이 말했는데, “인간의 본성은 변할 수 없습니다!” 라거나 “동물도 사회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라거나 “목가적인 삶 속에서도 반사회성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라고 반론한다면 모두가 “웬 헛소리야?” 라고 대꾸해 줄 수 있는 거죠.

    ㉠과 전혀 관련 없는 딴소리를 하고 있거든요.

     

    ④번 같은 경우에는 ‘반사회성만으로는 재능이 계발될 수 없다.’ = ‘반사회성 외에 다른 것도 있어야 재능이 계발될 수 있다.’ 라는 내용으로, 반론이라기보다는 ㉠의 주장을 보충해 주고 있는 것 같죠.

    “반사회성이 있어야 재능을 펼칠 수 있다는 ㉠의 주장은 옳습니다. 하지만 반사회성 외에 다른 것도 있어야 재능이 계발될 수 있습니다.” 라고 말하는 듯 하죠?즉, 일단 ㉠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거기에 보충을 한 겁니다. 즉, ㉠을 반론하는 내용이 아니죠.

     

    수학에서 말하는 역, 이, 대우... 이런 걸 대입해 보려 하면 아마 잘 안 맞을 거예요.

    수학에서 말하는 귀류법, 귀납법, 연역법(‘수열의 귀납적 정의’ ‘수학적귀납법’ 따위)도 언어에서 말하는 것과는 약간 다르거든요. (라고 소순영 선생님이 인강에서 그러셨어요 ㅎㅎ)

    그러니 굳이 “수학에서 ‘p는 q이다.’의 부정은 ‘q는 p이다.’였는데??” 하고 고민하는 일 없으시길~~

  • reposenap 2010.09.03

    갠적으로 '문단별 중심찾기' 라는 기본적 학습 외에 추가로 해야 할 학습 중 하나가

    '전제문 찾기'와 '부정문 찾기' 학습이라고 생각해요.

    둘 다 그냥 적당히 언어적 배경지식만을 갖고, 혹은 꼼꼼한 지문분석~ 만으로 풀려고 하면 잘 안 되거든요.

    약간의 스킬 ('A는 B이다'의 부정문은 'A인데 B가 아니다' 이다. 라던지)을 갖고 풀어야 해서,

    이런 부분은 평소에 따로 연습을 해 두어야 할 것 같아요.

    저는 부정문 찾는 건 이제 어느 정도 된 것 같은데,

    전제문은 아직 좀 어려워요~

    같이 열공합시당!

  • 영준 2010.09.04

    시정정의님 reposenap님 답변 감사합니다.이제 이해가 가는 것 같습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다른 문제를 좀더 접해보면 확실해질것같습니다.

    reposenap 님 정말 고마워요^^ 이번수능 좋은 결과 있으실겁니다.


자유게시판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를 통한 수능 국어영역 공부 논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정보원장 2017.07.17 686820
공지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정보원장 2016.01.08 761060
공지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정보원장 2015.07.15 633321
공지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file 정보원장 2013.12.16 660275
4111 나왔네요 적용편 4 막대기 2010.08.27 10378
4110 문학에관하여 제발언어쫌 2010.08.27 7843
4109 여러분들 소설읽을때 정독하나요? hahaha 2010.08.28 7918
4108 간절한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 2 연경제11 2010.08.28 9022
4107 나쁜언어 P244 문제1 질문이요 좀봐주세요 싱싱하 2010.08.28 7576
4106 비문학 몇분들 걸리세요~ 3 담백 2010.08.28 12440
4105 언정보 강의 잇자나여 ㅋㅋ볼 2010.08.29 7836
4104 강의 보고싶은데 권한이 없다네요...? 받자다받자1등급 2010.08.29 7529
4103 질문이요!!지금 이시점에서 나쁜언어 언정보.. 수능대박>_< 2010.08.29 9635
4102 언어영역기출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빙글 2010.08.29 8174
4101 부산 다녀 왔어요. 힘드네요. 1 정보원장 2010.08.30 8741
» 언정보 p50~p51 이해가 안됩니다 선생님 4 영준 2010.08.30 8752
4099 나쁜언어 적용편 나왔습니다. 4 file 정보원장 2010.08.30 8850
4098 나쁜언어 독해방법에서... 1 준오빠 2010.08.30 14634
4097 여러분, 실제 문제풀때도 글에 줄쳐가면서하시나요? Justain 2010.08.31 8035
4096 전제문제-대우~ 언신되고파 2010.08.31 8548
4095 언정보에서 말한대로 시분석 하다가 질문.. 2 dlf12 2010.09.01 9186
4094 나쁜언어 적용편에 관해.. 1 mizy 2010.09.01 15311
4093 ~ 1 쑤잠 2010.09.01 9312
4092 나쁜언어 적용편 질문 모럽 2010.09.02 79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 246 Next
/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