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연습 궁금한게 있습니다.
2011.06.20
독해연습 3개 지문으로 하라고 하셨는데
문제를 처음 풀어갈 때는 단락별 핵심문장을 찾지 않는다는 말인가요?
전 문제 처음 풀 때도 그런거 고려하면서 읽어내려가는데, 그렇게는 안 해도 되나요?
단락별 핵심문장 찾아가며 (그니까 나쁜언어에서 가르쳐준것 처럼) 문제 풀이를 하는데
또 다시 핵심문장 찾는거 하고 글 구조도 그려보고 해야 하는지 궁금해서요.
아니면 처음 풀 땐 핵심문장 찾는걸 엄밀히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인가요?
그냥 전 핵심문장 정확히 찾으면서 지문을 읽어내려가거든요...
궁금합니다.
댓글 4
-
우체국수학인터넷
체크 정도라는 게 단락별로 핵심문장 줄 그으면서 읽는다는 걸 의미하는 건가요? (언정보, 나쁜 언어에서 보여주시는 것처럼 초고수의 문제풀이를 실시간으로 따라간다고 하던..) 아니면 어떤 걸 체크 정도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글 구조도는 이해가 됬습니다.
-
leosbar
실전 처럼 문제풀때 단락 읽고나서 밑에 개념이면 개념 근거면 근거
대략 이정도로 써놓는걸 체크라고 봐도 되는거죠??
-
제가 볼 때는 굳이 써놓을 필요도 없는 듯 합니다.
그냥 단락에 줄을 그어 놓는다고 할 때 그걸 뭐 개념, 근거 이렇게 써놔야지 나중에 파악할 정도라면
독해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독해 과정에서 이미 내용적으로 잡아 놓으면 위치는 나오는 것인데
그걸 눈에 빨리 들어오게 하려고 체크 해놓는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말한 체크는 밑줄 정도를 그어놓거나 동그라미, 세모 등을 통해 강조하는 정도입니다.
동그라미, 세모의 용도는 책에 있구요...
저는 체크 정도 해놨었습니다.
추후 문제 풀이시에도 유용합니다.
글 구조도를 그리는 것은 평소에 문제 다 풀고 연습할 때 하시면 되구요.
그렇게 연습이 되면 나중에는 안 그려도 글 읽고 나면 머리 속에 그려져 있게 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