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언어 공략법 p219 케이스 3번 질문
2012.07.18
케이스 3번의 답안이 나와 있는데서
답2번이 적절한 근거가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중략) 미적관조는 이러한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이며, 해탈의 경지의 이르게 된다"라고 근거가
나오는데 어떻게 답 2번의 "상호관계"와 보기의 "미적관조"이 관련있게 되나요? 솔직히 답 2번은 보기만으로는 추측을 못하겠습니다. 지문으로 다시 돌아가서
봐야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언정보에도 보기 분석형을 푸는 방법이 나오는데 그 논리대로 그 문제를 풀면
답 1,3,4번은 보기에 관련있는 단어가 나오니까 비판적으로 생각해서(발문에 "비판적으로 반응할 때"라고 나오므로") 연관지어 아니다 라고 할 수 있고
2,5번은 보기에 관련되어 있는 단어 부분이 안 나오니 지문으로 돌아가 "예술의 세속화"에 관련되어 부분을 찾아 분석해서 고르는게 맞지 않나요?
왜냐하면 언정보의 보기 분석형 문제푸는 방법이 일단 보기를 가지고 답안을 분석한 후, 분석해도 안 나오는데는 지문을 가지고 분석해서 다시 답을
찾는 것니까요.
나쁜언어 공략법과 언정보가 지향하는 목표가 조금씩 틀리니 문제 풀이방법이 다르게 나올 수 있는건가요?
혹시 만약에 제가 말씀드린게 틀린 거라면 나쁜언어 공략법의 내용을 잘 이해 못하고 있다는 뜻인가요?
언정보를 여러 번 본다음에 다시 나쁜언어로 돌아가 기초 독해부터 다시 들어가야 되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