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보 질문.
2013.06.11
1. 일치/불일치,선택지 분석형에서 먼저 범위를 축소 할 수 있는 선택지에 중요한 부분을 밑줄 쳐 놓고 지문에 들어가는거 잖아요. 그렇다면 선택지에서 "아 이 부분은 유심히 보고 들어가자" 라고 생각한 후에 지문 들어가면서 만약 선택지에서 봤던 내용이 떡 하니 지문에 있다하면 먼저 지문을 읽다가 멈춘 후에 선택지를 보고 바로 지운 다음에 계속 읽다가 선택지 내용 나오면 그 부분 읽고 선택지로 돌아가서 지우고 이런식으로 하는건가요? 아니면 먼저 선택지에서 중요부분 체크해놓은 다음 지문을 쭈욱 다 읽고 난 이후에 하나씩 대입해보는 건가요?(이러면 제가 선택지에서 봤던 내용을 지문에서 유심히 체크를 해놓은 상태이겠죠.) 이 부분에 대해 잘 감이 안오네요...
2. 발문 분석형
발문 분석형에서는 먼저 이 특징적인 어느 한 부분에 대해서만 이야기 한 발문이라면(예를 들어 발문에서 칸트에 의견을 묻는 내용이라면), 발문만 보고(선택지는 보지않고) 지문들어간 이후에 쭈욱 읽다가 칸트에 내용이 나온 지문을 꼼꼼히 읽고 바로 문제풀면 되는건가요? 아님 발문보고 쭈욱 읽다가 칸트에 대한 중요문단을 꼼꼼히 읽으면서 지문 전체를 다 본 이후에 발문을 푸는건가요?
제가 예전에 했던 방식과 약간의 혼합이 생겨서 약간 헷갈리네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 정보원장 | 2017.07.17 | 631555 |
공지 |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 정보원장 | 2016.01.08 | 665963 |
공지 |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 정보원장 | 2015.07.15 | 545754 |
공지 |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 정보원장 | 2013.12.16 | 572552 |
2408 | 화법과 작문에 대해 | 나몰라라 | 2013.06.29 | 15847 |
2407 | 국정보 [1] | 나몰라라 | 2013.06.29 | 12812 |
2406 | 6월 모평 비문학 질문 | 이힝 | 2013.06.28 | 13924 |
2405 | 스텝 질문 [1] | 빡시게 | 2013.06.26 | 12513 |
2404 | 문학... [1] | monsterjamie | 2013.06.21 | 12850 |
2403 | 일치/불일치 편한 걸 찾았는데 방법론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1] | 나쁜언어. | 2013.06.19 | 11969 |
2402 | 일치/불일치 지문,문제 [1] | 나쁜언어. | 2013.06.18 | 13972 |
2401 | 국정보독해질문 [1] | 딩딩 | 2013.06.18 | 10518 |
2400 | 나쁜국어 [1] | 하나 | 2013.06.16 | 11531 |
2399 | 풀이법 확인 [1] | 혓바닭 | 2013.06.15 | 10345 |
2398 | 읽기 방법론. [1] | 나쁜언어. | 2013.06.14 | 10362 |
2397 | 이번에 국어에 화작문이 추가되었는데요.. [1] | 시적정상 | 2013.06.11 | 20030 |
» | 국정보 질문. [1] | 나쁜언어. | 2013.06.11 | 9485 |
2395 | 해설지에있는 풀이를 다봐야 합니까? [1] | 희망좀주세요 | 2013.06.09 | 10213 |
2394 | 공부 방법에 대해 질문입니다! [1] | 고려대최지혜 | 2013.06.08 | 13080 |
2393 | 간단한 질문이요~! [1] | 14학번 | 2013.06.07 | 9356 |
2392 | 아직 좀 이르지만... 4월 87>>>6월 만점 [2] | 케루디스 | 2013.06.06 | 14861 |
2391 | 저자님 ㅠㅠ [1] | 문과인 | 2013.06.05 | 8813 |
2390 | 제가 이해하는 접근 태도(?)가 맞나요? ㅎㅎ;;; [1] | monsterjamie | 2013.06.04 | 9130 |
2389 | 범위 축소 [1] | 빡시게 | 2013.06.04 | 10022 |
2. 우선 지문을 읽고 난 후에 문제를 풀겠죠. 문제를 풀며 발문을 다시 보겠죠. 아 이거는 칸트의 의견이 중요하구나 생각하겠죠. 그러면 아까 지문 읽었으니 지문 어디쯤에 칸트가 나오는지 생각이 나겠죠. 그러면 지문에 돌아가서 칸트 있는 부분 중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부분을 끌어와서 선택지와 매칭 시킵니다.
특별히 방식이 다르다기 보다는 그 근본적인 마인드를 잘 익히시는 게 중요합니다. 빠르게 문제의 핵심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틀리지 않기 위해 정확하게 다시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