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독해 질문합니다 꼭좀 봐주세요
2015.03.06
다음 단락으로 보아 반드시 참인 진술은?
바이러스의 형태는 핵산을 둘러싸고 있는 캡시드의 모양으로 구별하는데 이 형태들 중에서
많이 발견되는 것이 나선형,원통형,이십면체형이다. 나선형 바이러스는 모두 뮤-파지 방식(호흡기와 표피에 감염되지만 중추 신경계에는 감염되지 않는다).으로 감염되고, 원통형 바이러스는 모두 람다-파지(중추 신경계에 감염되지만 호흡기와 표피에 감염되는 종류도 있다.)으로 감염된다. 그러나 이십면체형 바이러스는 때로는 뮤-파지 방식으로, 때로는 람다-파지 방식으로 감염된다. 작년 가을 유행했던 바이러스 X는 이십면체형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고, 람다-파지 방식으로 감염되었다. 올해 기승을 부리면서 우리를 위협하고 있는 바이러스는 Y는 바이러스의 X의 변종인데 그 형태와 감염방식은 X와 동일하다.
➀ 바이러스X는 원통형이다.
➁ 바이러스X는 호흡기에 감염되지 않는다.
➂ 바이러스 Y는 호흡기에 감염된다.
➃ 바이러스 Y는 나선형이 아니다.
➄ 나선형이면서 중추 신경계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있다.
답을 택한 이유
나선형-뮤파지
원통형-람다파지
이십면체형-람다파지, 뮤파지 방식
바이러스X : 람다파지 형식
바이러스Y :X의변종이며 감염방식 람다파지
➀번인 근거: 바이러스 X는 이십면체형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고, 람다-파지 방식으로 감염되었다.
➀ 바이러스X는 원통형이다.
이십면체형이 아니고 람다파지방식으로 감염됬다는건 원통형이 맞지 않나요??
➃ 번이 아닌 근거
뮤-파지 방식(호흡기와 표피에 감염되지만 중추 신경계에는 감염되지 않는다)
람다-파지(중추 신경계에 감염되지만 호흡기와 표피에 감염되는 종류도 있다.)
→ 람다파지와 , 뮤파지방식에는 호흡기와 표피에 감염되는 종류도 있기 때문에
➃ 바이러스 Y는 나선형이 아니다.
그래서 Y는 뮤파지로도 감염되는 종류도 있을수 도 있겟네.. 라고 생각 했거든요
답지에선 지문에 많이 발견되는 것이라는 근거를 통해서 반드시 이세가지 형식만 있는건 아닐꺼다.라고
근거를 말해줬는데.. 실제로 시험장에서 이걸 간과한채로 읽거나 문제초점을 잘못 맞췄으면
못풀었을텐데 시간만 버리고.. 어떻게 하면 이런 낯선지문,이해안가는 지문을 만날 때
정확하고 빠르게 읽어 낼 수 잇을까요? 유기성,혹은 단락주제 찾기 핵심내용 요약, 기출문제 많이풀면 해결이 실력이 늘까요??
질문의 요점은
1. 이런 문제를 빠르고 잘 풀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방법, 1등급학생 혹은 선생님들이 이런문제 해결할 때 어떻게 풀어내는지 알고 싶어요
2. 실제로 수능에서 이런 문제를 만났는데 2번고민 했는데도 안풀린다면 어떻게해야하죠
2번고민하는 사이에 또 다른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내용들이 머릿속에 날아 갈것 같 은 데..
현명하게 건너뛰어야하나요.. 건너뛰는순간 2등급이 될꺼같은데..
단락 해석하는데도 시간소모가 컸는데 전체지문을 본다고 했을때 어떻게 해야될지 막막합니다.
과학지문, 기술지문,경제지문 모두 마찬가지이구요
해당 문제는 어려운 문제라서 굳이 그 수준까지 풀지 못해도 수능 100점 받는 것에는 지장 없습니다.
여러분이 생각을 좀 많이 해보라고 나쁜국어 등에는 현재 수능 교재 중 최상급의 난이도 문제들이 들어있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좀 잘 풀고 싶다 하면 국정보를 잘 해 보세요. 그게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한 원리와 원칙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쁜국어는 글 읽는 법에 대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