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요!
2015.08.15
수능에 나오는 글을 크게 보면 생각글과 설명글이있잖아요
여기서
1.설명글을 읽을때는 뿌리,개념들의위치와 특징(캐릭터) 이3가지에 포커스를 맞춰서 독해하면되나요??
2.그리고 뿌리라는거자체가 문장으로 안주어지고 단어로도 주어지나요??
예를 들면 1단원에서 석가탑 얘기를하고 2단원부터 석가탑의상층부 3단원석가탑의하층부 이런식으로 내용이주어지면
뿌리가 '석가탑'이라고 봐도 무방한가요?
3.방금얘기드린 석가탑에대한 지문이 글독해부분 '개념나열식전개' 단원에 있는데
석가탑 지문이 1문단에서는 석가탑의얘기를하고 있고 2문단은 석가탑의상층부 3단원석가탑의하층부 이런식으로 얘기하고있는데
이건 석가탑이=A라 보고 각단락에서 A의 상층부,하층부 등을 말하고 있으니깐 '개념나열식전개'단원보다는 '생소한대상소개'단원으로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이런식으로 일일이 따져가면서 독해하는데 비효율적인가요?? 시간만 걸리고 의문심이들어서요..몸에 익히려고 이런식으로하는데 ㅜㅜ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 정보원장 | 2017.07.17 | 644109 |
공지 |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 정보원장 | 2016.01.08 | 683607 |
공지 |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 정보원장 | 2015.07.15 | 561691 |
공지 |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 정보원장 | 2013.12.16 | 588991 |
3049 | 많이 빠지는 오해에 대한 답변 | 정보원장 | 2015.09.07 | 10225 |
3048 | 질문드려요 [1] | 국통 | 2015.09.05 | 9054 |
3047 | 국정보 일치 불일치 질문 [1] | 공부잘하고싶은학생 | 2015.09.04 | 8445 |
3046 | 안녕하세요지문읽기방법중궁금한점 [1] | 피아노 | 2015.09.01 | 8478 |
3045 | 질문 있습니다. [1] | KKD | 2015.08.31 | 7206 |
3044 | 국정보 인터넷 강의도 하실 생각있으신가요? [1] | 공부잘하고싶은학생 | 2015.08.26 | 8351 |
3043 | 국정보를 보면서 [1] | 궁금청소년 | 2015.08.19 | 7013 |
3042 | 고득점 시리즈 관련 문의. [1] | 죠스타 | 2015.08.19 | 9782 |
3041 | 질문이요 [1] | 에베베뀨 | 2015.08.17 | 6807 |
3040 | 국정보 질문드립니다 [1] | 국어만점향해 | 2015.08.15 | 8586 |
» | 질문이요! [1] | 이성길 | 2015.08.15 | 6948 |
3038 | 점수가 안올라서 공부할 기분이 안나네여 [3] | 이현준 | 2015.08.14 | 9995 |
3037 | 비판적독해질문이요 [1] | 이성길 | 2015.08.14 | 7837 |
3036 | 비문학 문제푸는법 [1] | 김필모 | 2015.08.14 | 10105 |
3035 | 문학부분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 자유 | 2015.08.14 | 7290 |
3034 | 질문이요. [1] | 치킨내놔 | 2015.08.13 | 7816 |
3033 | 질문이요 [1] | 김민규 | 2015.08.13 | 6443 |
3032 | 일치/불일치문제 질문이요~ [1] | 성대가용 | 2015.08.12 | 8345 |
3031 | 국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 정보원장 | 2015.08.12 | 7687 |
3030 | 질무니요 [1] | 에베베뀨 | 2015.08.12 | 9452 |
안녕하세요?
1. 전반적으로 그렇다 보시면 되고, 인터넷 강의 참고하시면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어요.
2. 그렇게 생각하진 않습니다. 제 책에서 뿌리라고 하는 단어는 나열의 윗 단계에 위치하여 나열하게 만드는 단락 정도를 말하고 있습니다.
3. 학생 입장에서는 이 글이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는지 보다도 단락 구조도라든지 핵심 문장 고르기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책의 분류는 제가 가르치기 위한 것이지 학생들이 그것을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