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국어 독해 지문 질문
2018.04.14
안녕하세요. 수능 때는 국정보, 공무원 시험 준비하면서는 언정보 공부했던 사람인데요.
공무원 시험 문제 중에서 한 가지 안 풀리는 지문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우리 장인님은 약이 오르면 이렇게 손버릇이 아주 못됐다. 또 사위에게 이 자식 저 자식 하는 이놈의 장인님은 어디 있느냐, 오죽해야 우리 동리에서 누굴 물론하고 그에게 욕을 안 먹는 사람은 명이 짜르다 한다. 조그만 아이들까지도 그를 돌아세 놓고 욕필이(본 이름이 봉필이니까), 욕필이, 하고 손가락질을 할 만치 두루 인심을 잃었다. 하나 인심을 정말 잃었다면 욕보다 읍의 배참봉 댁 마름으로 더 잃었다. 번이 마름이란 욕 잘하고 사람 잘 치고 그리고 생김 생기길 호박개 같아야 쓰는 거지만 장인님은 외양에 똑 됐다. 장인께 닭 마리나 좀 보내지 않는다든가 애벌논 때 품을 좀 안 준다든가 하면 그해 가을에는 영락없이 땅이 뚝뚝 떨어진다. 그러면 미리부터 돈도 먹이고 술도 먹이고 안달재신으로 돌아치던 놈이 그 땅을 슬쩍 돌아앉는다. -김유정 봄봄
④ 장인과 소작인들 사이의 뒷거래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제시했다.
이게 틀린 선택지로서 정답인데, 뒷거래 장면을 잘 묘사한 거 아닌가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 정보원장 | 2017.07.17 | 644960 |
공지 |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 정보원장 | 2016.01.08 | 685120 |
공지 |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 정보원장 | 2015.07.15 | 563015 |
공지 |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 정보원장 | 2013.12.16 | 589973 |
4289 | 잘모르겠어요.. [1] | 건국미 | 2018.04.30 | 5516 |
4288 | 제대로 [1] | 기회비용 | 2018.04.23 | 5988 |
4287 | 정말 궁금한건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2] | 언어정복 | 2018.04.23 | 6369 |
4286 | 작년꺼 국정보 질문이요 | sylux2757 | 2018.04.22 | 6808 |
4285 | 시험장에서 | fluffyck | 2018.04.20 | 6105 |
4284 | 나국독을 현재 글 독해 파트까지 공부하면서 느낀 점에 대한 질문 [1] | 고급식성인 | 2018.04.19 | 6957 |
4283 | 국정보 236p 질문이 있습니다 | 등용문감옥 | 2018.04.19 | 6158 |
4282 | 일치불일치 판단 질문 [1] | gooklang | 2018.04.19 | 6130 |
4281 | 나국독 핵심어 찾기 파트에 실전독해연습 질문인데요 [1] | 유동이 | 2018.04.17 | 6417 |
4280 | 국정보도 공무원국어독해에 도움이되나요? [1] | 국정보최고다 | 2018.04.16 | 7941 |
4279 | 안녕하세요 [1] | ㅜㅜ | 2018.04.15 | 6389 |
4278 | 문학에 소설 쪽이 잘 읽혀지지 않아 고민인데요. [1] | 대학가즈아 | 2018.04.15 | 5816 |
4277 | 나쁜독해기술 질문입니다 | 겨엉찰 | 2018.04.15 | 5950 |
» | 공무원 국어 독해 지문 질문 [1] | boxout9 | 2018.04.14 | 7664 |
4275 | 당연한 질문이요 [1] | 기회비용 | 2018.04.14 | 6850 |
4274 | Act5에 실전적 문장 해부에서 [1] | 고급식성인 | 2018.04.13 | 6243 |
4273 | 수능 국어 공부법 [1] | 룰루루 | 2018.04.13 | 6312 |
4272 | 복습주기? [1] | 15161 | 2018.04.11 | 5477 |
4271 | 국정보,나쁜국어 독해기술 [1] | Mystic | 2018.04.11 | 5693 |
4270 | 안녕하세요 간절합니다 [1] | 겨엉찰 | 2018.04.11 | 5919 |
안녕하세요?
일단 제가 공인 문제에 대해 답이 이렇다 저렇다 할 수 없는 입장이구요,
그런 관계로 그런 문제와 관련된 해석도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지간하면 답이 맞을테니까요, 한 번 잘 고민해 보시는 것도 공부하는 한 방법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