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31번 문제 해설(간략한)
2018.11.16
2019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31번 문제 해설(간략한)
지문에서 "또한 여기에서 지구보다 질량이 큰 태양과 지구가 서로 당기는 만유인력이 서로 같음을 증명할 수 있다."와
선택지에서 "태양의 중심에 있는 질량이 m인 질점이 지구 전체를 당기는 만유인력은, 지구의 중심에 있는 질량이 m인 질점이 태양 전체를 당기는 만유인력과 크기가 같겠군."이 같은 의미가 아니라는 점을 생각하면 쉽게 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대개는 이 두 문장이 같은 의미라고 생각해서 헷갈렸을 것입니다.
가령 나쁜국어 독해기술에서 설명하는 문장독해, 특히 머리+꼬리 사이 호응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갖췄다면
'뭐와 뭐가 같다'는 형태에서 조금 더 주의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내부 문장 속에서 의미 파악). 문장 독해를 참고하면, 위 두 문장에서 중요한 의미를 파악하는게 바로 뭐와 뭐가 같다는 것인지로 이어지고 결국 답이 됩니다.
지문은 '지구 전체', '태양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데(물론 의도적인지 모르겠지만 굳이 지문에서는 '전체'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죠) 선택지는 '태양 중심에 있는 질량이 m인 질점과 지구 전체', '지구 중심에 있는 질량이 m인 질점과 태양 전체'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시험장에서는 이 정도 이해하고 답을 고르면 충분합니다.
문제가 아주 어렵지 않은게 답이 되는 선택지가 <보기>를 심각하게 분석하지 않아도 답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1~5번 선택지 모두를 생각해보려면 당연히 <보기>가 필요합니다.
물론 조금 깊이 생각해 보자면, 지문에서 "그 크기는 두 질점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고 하였으니
'm * 태양 전체질량'이 'm * 지구 전체 질량'과 같지 않다고 생각해도 되구요.
여러 가지 풀이가 가능하리라 보입니다.
두 질점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와 -1
m x 태양전체질량 m x 지구전체질량 -2
1,2가 각각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안 돼요ㅠㅠ 추가설명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