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633 댓글 4

국어 방법론. 생소하다지만 그래도 노력하면 체화하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1회독을 했는데 정말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끝에 가니깐 진짜 엄청 '어설프게' 글의 핵심이 뭔지 대충 알겠는 느낌? 했던 방식으로 2회독하면 안 하는거랑 똑같다는게 불보듯 뻔해 하기 전에 질문드립니다. 반드시 체화하고 싶습니다. 단순히 수능의 문제가 아니라 내가 못한다고 생각하고 드랍하기 싫어서요. 현재 1회독의 관점에서 질문드리는거라 고수의 입장에서 봤을 때 한심한 질문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양해바랄게요 ㅜ.

Q1. 우선 18가지 독해기술 딸딸 외우고 지문을 맞닥뜨렸을 때 18가지 기술 상기시키면서 하는 게 맞나요? ex. '이게 의문-해결 상황이군 -> 그땐 뭘 해야하더라? -> 해결에 주목해야징~'. 계속 그렇게 적용하다가 후에는 점점 체화되면 자연스레 상기안해도 적용되게끔 말이에요!

Q2. 일반적-구체적 전개.. 여기서 사실 좀 충격.. '예시를 읽지 않으면 글의 이해를 선명하게 못 하지 않나?' 기존에 깔린 생각이었고 현재도 그렇습니다. 저도 맥락을 잡은 상태에서 부연 설명/ 같은 말을 반복하는 상황에선 빠르게 넘어가지만 나쁜 국어에선 그냥 일반적인 문장만 읽고 넘어가는 편이어서요. 보통 모든 추상적이거나 일반적인 문장은 예시를 통해 이해해야하니깐 오히려 예시에 주목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저는 심지어 글을 읽을 때 추상적인 문장이라고 생각하면 예시를 의도적으로 떠올려 이해하려고 하기도 하거든요.

Q3. 복습하는 방법에 대해서 (나쁜 국어 1회독)

1. 현 시점에서 국정보로 넘어갈지/그냥 다시 나쁜 국어 바로 볼지/나쁜 국어 인강 봐야할지 궁금합니다.

나쁜 국어 바로 다시 보는 게 정석인데.. 하.. 해도 잘 할 자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인강보려는데 국정보보고 보라고 하셔서요.

2. 만약 나쁜 국어 바로 다시 봐야한다면 제가 생각한 복습 방식이 괜찮은지요.

1) 우선 지문을 읽을 때 그냥 읽어도 되지만 저는 한 문장씩 읽고 드는 생각들을 노트에 필기합니다.(그동안은 이것만 했습니다) 그렇게 한 번 분석합니다. 그저 지문의 '내용'을 통해 생각들을 정교하게 만듭니다. 그러고 다시 읽으면 맥락과는 별개로 불필요하게 했던 생각들을 찾고 했어야했던 생각들을 찾아낼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

2) 다시 같은 지문을 한 문장씩 읽습니다. 이번에도 노트에 작성하는데 '기능과 구조'에 초점을 맞춰서 봅니다. 문장별로 끊어가면서 노트에 각 문장의 기능(ex. 개념/예시/원인/결론)을 파악하고, 단락 내의 중요한 문장이 무엇인지 기능/접속어/핵심어를 근거로 찾습니다. 그렇게 한 단락을 읽고 단락의 전개 흐름을 각 단락 별로 적습니다.

3) 이후는 원장님이 제시한 복습 방식이랑 같습니다~. 그렇게 찾은 중요한 문장을 바탕으로 각 단락별 관계 글 구조도 그리기

4) 전체 지문 핵심 찾아 작성해보기

이렇게 하려는데 괜찮은가요?

 

 

 





Comment '4'
  • 비트켄슈타인 2024.08.13
    2회독 중인데 우선 첫 번째 질문은 멍청한 질문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나머지도 깨달아보겠습니다.
  • 정보원장 2024.08.27
    안녕하세요?
    일단 고민을 하면서 공부하는 것은 좋은 태도입니다. 다만 그 정도가 문제이겠죠 너무 심각해도 안 되고 너무 가벼워도 안 되겠습니다.

    q1. 독해기술을 딸딸 외우는 건 불가능합니다. 저도 못 외움. 다만 왜 그렇게 하는지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연습하다 보면 그렇게 되는 것이고, 가르치는 입장에서 항목을 나눠서 가르쳐야 하니 18개가 된 것이지, 논리적인 흐름은 하나나 다름 없습니다.

    q2. 글을 읽지 않는 부분은 없되, 주의할 부분을 더 주의하는 것입니다. 아주 구체적인 예시는 잘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그 경우 대개는 일반적인 내용에 집중하면 오히려 구체적인 예시도 무슨 말을 하는지 잘 이해하게 됩니다. 그런 취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q3. 국정보를 보면 비슷한 내용을 문제 풀이에 맞게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입체적인 이해가 가능하다는 차원에서 그렇게 얘기한 것입니다. 쭉 다 보고 다시 나쁜국어를 본다든지 해야 어느 정도 발전적인 이해가 가능하고, 한 번 본 교재를 바로 반복하는 것은 실력 향상이 별로 없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쁜국어 복습방법 : 뭘 노트에 쓰고 그러실 필요는 없구요(시간이 오래 걸리니), 다음에 복습할 문제나 내용만 체크해 뒀다가 그 부분만 이후 반복하면 되는데, 한 번 복습해서 잘 알겠으면 그 다음엔 안 해도 됩니다. 글 구조도 이런거는 책에서 제시한 내용과 동일합니다.

    파이팅 하시고 잘 되시길 기원합니다.
  • 비트켄슈타인 2024.08.30
    답변 감사합니다~! 나쁜국어 이후 국정보를 현재 하는 중인데.. 놀랍네요 ㅎㅎ. 이게 도움되는건가? 의심이 정말 많이 들었는데.. 국어는 말할 것도 없이 영어도 같이 점수가 정말 많이 올랐어요. 언어 시험계의 꼬트십니다 꼬트.
  • 정보원장 2024.09.0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자유게시판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를 통한 수능 국어영역 공부 논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정보원장 2017.07.17 685914
공지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정보원장 2016.01.08 759448
공지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정보원장 2015.07.15 631860
공지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file 정보원장 2013.12.16 658846
4911 9등급 쌩노베 공부시작책으로 나쁜국어 독해기술 1 지나가는 2025.07.01 135
4910 [나쁜국어 독해기술] Act.01 실전 독해연습문제 5번 질문있습니다! 1 뉴비 2025.06.02 1216
4909 국정보 15개정 170p 질문드립니다! 2 ㅁㅁㅁ 2025.05.03 2547
4908 [국정보(15th Ed.) 질문] 페이지 158/유제 03/문제 03 에 대한 해설지 설명에 관한 질문 2 AK2025 2025.04.08 3507
4907 187쪽 추론적 사고 1 정현호 2025.04.05 3974
4906 웹사이트 조정 중입니다. 정보원장 2025.04.02 3029
4905 [국정보 질문] 15번째 개정판 124 페이지 설명 부분에 대한 질문 2 AK2025 2025.03.26 4231
4904 안녕하세요 ~ 교재 외적인 질문인데 혹시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요? 1 1234 2025.03.20 10282
4903 다시한번 감사인사드리려고 올립니다 1 이병희 2025.02.18 7694
4902 나쁜국어 독해기술 (2025년) 1 제로 2025.02.14 5958
4901 의미단위로 끊어읽는게 뭔지 모르겠어요ㅠㅠ 1 국어 2025.01.09 9259
4900 원장님~~ 나쁜국어 독해기술 / 국정보 개정판 나오나요? 궁금합니다!! 1 파이팅 2024.11.10 10865
4899 안녕하세요 ACT 03의 일반적 - 구체적 전개 실전 문제 풀이 질문 드립니다 p 84/3번 문제, 1 고재영 2024.10.14 8691
4898 나쁜국어 독해기술 인강문의 1 안타안타 2024.09.05 12165
4897 나쁜 국어 P 112 5번 문제 질문있습니다 1 불타는 초록 2024.09.05 12960
4896 도와주세요 2 불타는 초록 2024.08.13 12971
» 나쁜국어를 체화하는 법... 4 비트켄슈타인 2024.08.10 12633
4894 국정보p.195 해설 2 minjae0713 2024.07.30 12140
4893 알면 알수록 더 보이는 나쁜국어독해기술 1 얌얌 2024.07.27 15699
4892 국정보 p.95 문제 질문입니다 1 올해끝낸다 2024.07.19 169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246 Next
/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