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언어 413p 2번 문제에 대한 질문
2010.04.13
안녕하세요
나쁜 언어 책을 구입해서 정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남학생입니다
항상 저자분께 감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 드릴 것은 406p 세트 6 지문의 문제 2번인데요
문제 2번에서 1번 선택지에
a는 항공기의 구조와 비슷하므로 실용화를 위해 항공기에 쓰이는 소재를 써야겠군
라고 되어 있는데, 해설에서는
-> '이 선택지는 a가 무엇인지 판단하기보다는 선택지의 진술을 바탕으로 바로 지문에서 관련 부분을 찾을 수 있는데 지문에서는 '위그선은 항공기와 운항 영역 및 고도가 다르므로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값비싼 장비를 그대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고 있고, 선택지의 진술과 같은 내용은 없습니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근데 해당 지문을 보면
또한 위그선은 항공기와 운항 영역 및 고도가 다르므로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값비싼 항해 장비를 그대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장비들이 운항 특성에 맞게 새로이 개발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선가가 적정한 가격대로 형성되어야 실용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결국 차이점은 해설지의 '장비' 와 '항해 장비' 인데요
선택지에서는 '소재'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으므로 여기에 나오는 항해 장비와는 무관하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이 문제를 풀 당시에는 항해 장비와 이 문제를 연관시키지 않고 그 위에 있는 소재와 연관시켜서 글을 읽었는데요
그 부분의 지문은
위그선은 일반 항공기와는 달리 해수의 영향을 받으므로 하부 선체의 구조 강도가 항공기에 비해 상당히 높게 설정돼야 한다. 즉, 구조 강도를 높이면서도 경량화 되어야 위그선이 효율적으로 운항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강도가 필요한 부분은 금속 자재를 사용하고 강도에 문제가 없는 부분은 과감히 신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라고 적혀있는데요.
'일반 항공기와는 달리 해수의 영향을 받으므로 하부 선체의 구조 강도가 항공기에 비해 상당히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문제 2에서 a가 지시하는 부분은 위그선의 상체 부분이므로 강도에 문제가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소재를 사용한다는 것이 말이 되지 않을까요? (일반 항공기보다 하부 선체의 구조 강도가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고 했으므로 상부구조는 일반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소재와 같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선택지 1이 답인 것 같습니다. 선택지 4에 '양력이 증가되어' 와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의 인과관계도 불분명하구요.
댓글 3
-
아래처럼 고치면 되겠네요.
이 선택지는 ⓐ가 무엇인지 판단하기 보다는 선택지의 진술을 바탕으로 바로 지문에서 해당 부분을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소재를 언급한 것은 단락5인데, '이를 위해서는 높은 강도가 필요한 부분은 금속 자재를사용하고 강도에 문제가 없는 부분은 과감히 신소재를 사용해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높은 강도 필요한 부분은 금속, 그렇지 않은 부분은 신소재이니까 어찌되었든 항공기에 쓰이는 소재와는 다르죠?
ⓐ는 상부선체라서 강도에 문제가 없으니 신소재를 이용하여야 하겠습니다. 근데 왜 신소재는 항공기에 쓰이는 소재와 달라야 하느냐? 질문이 생각나죠? 그것에 대한 답은 '구조 강도를 높이면서도 경량화되어야 한
다'는 본문의 진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기존 항공기스타일이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
성공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네 그렇네요.
하지만 답은 동일합니다.
왜냐면 신소재를 사용한다는 것은 항공기에 쓰이는 소재를 쓰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에 고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답은 맞는 설명인거 같으니 한 번 잘 생각해보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