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학년도 4월 모의고사 국정보 152쪽 질문!!
2013.08.08
152쪽의 보기의 관점에서 A를 비판할수있는 말로 가장 적절할수있는거라 해서 답을 2번이라고 골랐는데 틀려버렸네요 ..지문에서 말하듯이 도덕감이란 도덕적 가치를 판별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보기에서는 사람마다 정도가 다르기에 선 악에 대한 일관된 판단기준을 적용할수 없다고 했고요 그래서 상대적이다 라는 건 뽑아냈습니다 그래서 상대적이다에 부합 하는 2 번을 골랐는데 틀려버렸네요..ㅠㅠ시대와 상황에 따라 달라지니까 상대적인 거 아닌가여? 지문에서는 도덕감이 도덕적가치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도덕감이 정도의 차이가 있으면 도덕적가치도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지 않나요? 정도의 차이는 사람마다 상대적이다 즉 기준은 언제나 변할수있다 그러니까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한다 이렇게 이어질수 있지 않나요? 그걸 개인의 주관이 개입 될 수 있다고 하는거랑 무슨 상관이 있죠?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 정보원장 | 2017.07.17 | 637336 |
공지 |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 정보원장 | 2016.01.08 | 673054 |
공지 |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 정보원장 | 2015.07.15 | 552713 |
공지 |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 정보원장 | 2013.12.16 | 579228 |
2449 | 나쁜국어 질문 [1] | 아이스 | 2013.08.31 | 13693 |
2448 | 나쁜국어 p.117 [1] | 아이스 | 2013.08.31 | 14202 |
2447 | 나쁜국어 독해기술 2회독 할때 풀었던 문제들도 다시 풀어야 되나요 [1] | 송가망신 | 2013.08.30 | 14573 |
2446 | 쓰기 어법관련해서 [1] | 예씨 | 2013.08.30 | 13007 |
2445 | 글 구조도 [1] | 불굴의의지 | 2013.08.30 | 14447 |
2444 | 문장독해에서 [1] | 낭만 | 2013.08.29 | 12500 |
2443 | 국정보a형을 공부하고있는데요 [1] | 잉명 | 2013.08.28 | 13224 |
2442 | 나쁜국어 독해기술 (첫째마당) 문장독해 에 대해 [1] | 송가망신 | 2013.08.27 | 17408 |
2441 | ebs정리 [1] | 코카콜라곰 | 2013.08.25 | 13057 |
2440 | 언정보 3.0 a 형과 , 기존 오래전의 책 네눈에 정답만 보이게 해줄게와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 | 이히에요 | 2013.08.25 | 12968 |
2439 | 질문이요 [1] | 화니 | 2013.08.18 | 13188 |
2438 | 국어 공부 방향에 대해서 [1] | 날고파 | 2013.08.15 | 16032 |
2437 | 질문입니다. [1] | 수만자 | 2013.08.15 | 12476 |
2436 | 이전 책들에 대해서 [1] | jjipp25 | 2013.08.12 | 11778 |
» | 2010학년도 4월 모의고사 국정보 152쪽 질문!! [1] | 나몰라라 | 2013.08.08 | 13231 |
2434 | p.66 [1] | 하나 | 2013.08.07 | 13732 |
2433 | 국정보 줄긋기 질문드립니다. [2] | 한글공부 | 2013.08.06 | 17825 |
2432 | 국정보를 보는 것이 '기출 문제를 보는 것'입니다. | 정보원장 | 2013.07.31 | 50722 |
2431 | 국정보 A형 질문 [1] | 멀리있기 | 2013.07.31 | 14089 |
2430 | 도와주세요~~ [2] | 해피순이 | 2013.07.30 | 11033 |
제가 해설에도 써 두었듯이 1, 2, 5는 경우에 따라 답이 될 수도 있는 선택지입니다. 그것들이 거기서 [A]와 관련이 어떻게 되는지 찾아보는게 '문제를 푸는 것'에 해당합니다. 해설에 밑줄 쳐 놓은 부분을 비판하는 것인데 2번은 그것을 비판하는 것과 덜 관련 있고 5번이 보다 직접적입니다.
저도 말 하기가 어려운데 지금 잘 이해되지 않으면 나중에 한 번 다시 보세요. 그게 좋은 공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