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보 조커 풀이법 질문 있는데요...ㅠㅠ
2018.05.22
안녕하세요 나국독 2번 읽고 국정보로 막 공부중인데요 진도는 나가고 있는데 조건분석이랑 근거축소 부분에서 정말 고민중인게 있습니다
저자님은 조건분석 부분에서 '발문 분석형, 선택지 분석형, 보기 분석형' 이렇게 3가지로 나누시고 근거축소 부분에서는 '사실-부분 사고, 사실-전체 사고, 추론적 사고' 이렇게 3가지로 나누셨잖아요? 그리고 찾은 조건으로 어떻게 조건을 축소하는지의 과정이 조커 풀이법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제가 너무 이상한 곳에 매달리는 건지 저도 잘 모르겠는데요 위의 조커 풀이법 부분을 계속 천천히 읽어보니 조건분석에서 선택지 분석형 문제는 결국에는 사실-부분 사고 문제 유형과 거의 흡사했습니다. 이 부분은 느낌이 한 번에 와서 이론 부분 읽고 문제 풀고 넘겼는데
근데 발문 분석형은 뭔가 문제를 접근하려 할 때 애매모호한 느낌이 듭니다. 책에서는 발문을 잘 해석하는 게 관건인 문제가 발문 분석형 문제라고 하셨는데요
분명 문제를 볼 때 선택지나 보기보단 발문을 우선적으로 잘 읽어봐야 하는 게 명확하게 보이는 게 있습니다. 그런데 뭔가 발문이 더 중요한지 아닌지 애매한 경우가 있어서 좀 고민이에요
그리고 발문 분석형 문제에서 발문 분석을 했다고 하면 근거 축소는 어떤 사고방식으로 해야할까요? 선택지 분석형 같은 경우는 사실-부분 사고와 잘 부합해서 이해가 잘 되는데.. 발문 분석형은 근거 축소를 어느 사고과정으로 해야 할 지 감이 잘 안 잡힙니다. 문제에 따라 사실-전체 사고 과정으로 할지 사실-부분 과정, 추론적 과정으로 할지 다 다른건기요? 아니면 결국 발문 분석형은 발문을 잘 읽어내야 하는 거니깐 상관이 없는건가요..?
사실 여기에 너무 목 매달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ㅠ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필수]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 방법을 실전 문제에 적용시키는 온라인강의를 소개합니다. | 정보원장 | 2017.07.17 | 749510 |
| 공지 | 누구나 참고할만한 수능 국어영역 가이드 [8] | 정보원장 | 2016.01.08 | 873679 |
| 공지 | 나쁜국어 독해기술, 국정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5] | 정보원장 | 2015.07.15 | 737424 |
| 공지 | 고득점시리즈 샘플 보기 및 구매 방법 안내 [16] | 정보원장 | 2013.12.16 | 761481 |
| 4322 | 선지 2개 헛갈리는 문제+조건분석 [1] | oth630 | 2018.06.14 | 7889 |
| 4321 | 질문있습니다. [1] | 호룰루 | 2018.06.14 | 7062 |
| 4320 | 일치 불일치 문제 [1] | 김정헌 | 2018.06.14 | 6615 |
| 4319 | 전체적인 커리큘럼 질문이요!! [1] | 김준홍 | 2018.06.14 | 7755 |
| 4318 | 본인의 문제풀이 과정에 대한 상담요청 [1] | ㅇㅎㅈ | 2018.06.13 | 7326 |
| 4317 | 정말 감사드립니다 | 맹고 | 2018.06.13 | 12050 |
| 4316 | 리트머스 2번문제 [1] | 국정보짱 | 2018.06.12 | 8992 |
| 4315 | 공부하고자 합니다! [1] | white | 2018.06.11 | 8018 |
| 4314 | 국정보 질문입니다. [1] | 김동선 | 2018.06.11 | 7889 |
| 4313 | 도와주세요 [1] | 급해요아무나도와줘요 | 2018.06.11 | 7136 |
| 4312 | 교재 오류 수정 보기가 안되네요 [4] | 조지 | 2018.06.10 | 7121 |
| 4311 | 리트머스 문제3 질문 [1] | shj9048 | 2018.06.09 | 7635 |
| 4310 | 시간이 부족해요 ㅠㅠ [1] | ㅇㅇ | 2018.06.09 | 6788 |
| 4309 | 기출문제 푸는양 [1] | dfjdkfjdf | 2018.06.08 | 7395 |
| 4308 | 이번 6평친 재수생입니다. 상담부탁드립니다. [1] | ㅇㅅㅌ | 2018.06.07 | 7185 |
| 4307 | 독해 질문 [1] | 마이마이 | 2018.06.07 | 7079 |
| 4306 | 국어영역 고득점시리즈 질문 [1] | gooklang | 2018.05.27 | 6844 |
| 4305 | 질문 여러개 [1] | oth630 | 2018.05.26 | 6793 |
| » | 국정보 조커 풀이법 질문 있는데요...ㅠㅠ [1] | 심각한고민중 | 2018.05.22 | 6741 |
| 4303 | 줄긋기 접속어 동그라미 세모 [1] | 니니닌 | 2018.05.20 | 7340 |

안녕하세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책에서 여러 가지 분류하는 이유는 가르치기 위해서이구요,
학생 입장에서는 적절히 이해가 되면 하나로 생각하고 풀면 됩니다.
저도 문제 풀 때 이게 무슨 분석형이고 무슨 사고 문제인지 구분하면서 풀지 않거든요.
배우는 시기에 가르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과 실제 시험장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잘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문제를 풀고 나서 무슨 분석형인지 생각하는 것은 그다지 의미가 없습니다.
처음 배울 때 어디에 주목할지 염두에 두는 의도로 그렇게 가르치는 것입니다.
본인이 문제를 풀면서 어디에 주목해야 되나 찾아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면 된 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