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쪽 문제! 몇분이 올리셨는데 아무도 댓글을 안달아주셨더라구요 ㅠ
2010.07.10
(보기)오늘날의 청년 실업은, 근본적으로 우리 경제가 대외 의존적이라는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리 경제 체제는 자체 동력으로 삼을 만한 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세계의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여기서 답이 "구조를 중심으로 청년 실업의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더라구요. 단어 유사성을 통해
근데 단어 유사성을 통해 답을 고른다면..
"구조"가 아니라, "관계"도 될 수 있다고 보거든요?
지문을 살짝 보면..
(구조관련지문)
구조를 중심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개인의 의지와 능력에 상관없이 존재하고 작동하는 사회의 체계나 구조에 관심을 둔다.
(관계관련지문)
이 관점에서는 주로 어떤 개인과 그를 둘러싼 가족, 사회, 국가,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구속성과 영향력, 또는 어떤....
댓글 3
-
개리
-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요.
구조와 관계의 개념에 대해서 잘못 생각하신게 아닐까요?
단어유사성 등의 추론은 단어의 아주 사전적인 의미를 통해서가 아니라 그것이 지금 어떻게 쓰이냐가 더 연관되어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는 보조적 수단이죠.
-
단어유사성을 들어서 질문을 올린건 책에 단어유사성으로 문제를 풀어서 그런거구요.
지금 보니까
1번 답이 "'구조'를 중심으로 청년실업의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라고 되있는데
보기에 청년실업의 원인이 "우리 경제의 대외 의존성"이더라구요.
이것만 본다면 1번 답이 이해가요.
전 <보기> 전체를 봐서 헷갈린거 같아요.
(둘째 셋째줄에" 자체 동력 기반이 약해서 세계 경제 상황에 영항을 받지 않을 수 없다"라고 되있는데 이 글을 보면 '관계 관련 지문' 내에서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구속성과 영향력'과 말이 통하지 않나요?)
일단 전 그렇게 생각하는데 이 글 보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개인의 의지와 능력에 상관없이} 존재하고 작동하는 사회의 체계
↓
근본적으로 {우리 경제가 대외 의존적}이라는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리 경제는 개인의 의지와 능력에 상관없이 의존적이기 때문에
구조적인게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