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약 외의 분야는 뭘로 공부하세요?
2010.09.04
언정보로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언정보에 나와있는 양은 적은것 같은데...
몇개 해봤지만 저는 아직도 시나 고전을 비문학 처럼 풀 수 있다는 말이 잘 실감이 안나는데요.
해보신 다른 분들 어떤가요? 정말로 비문약 외의 부분도 비문학처럼 명쾌히 풀리나요?
댓글 4
-
reposenap
전 메가스터디 이성권 샘의 문학 개념어와 논리적 해석이란 책으로 공부해요. 이게 원래 인강으로만 있었던 건데, 올해 초에 시중에서 파는 책으로 따로 나왔거든요. -
basketballer
저도 이성권 선생님 문개 책 사서 혼자 풀고 그 담에 또 인강 들었는데 이번 문학 다 맞았어요. 공통점 찾기 이런 거는 거의 명쾌하게 비문학처럼 근거 딱 보여서 풀리는데 9월 모평 27,28번 (번호는 확실치 않네요..) 처럼 적용하는 문제는 풀긴 풀어도 비문학처럼 명쾌하게 풀리진 않죠. 그나마 가장 정답에 가까운 거 찾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네요.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데 100%일치 할 순 없는 거 아닐까요??
문개하고 나쁜언어 언정보 테크타서 3월 3등급 6월 1등급 9월 98점 맞았어요. 틀린 길은 아닌 것 같습니다. -
샤를마뉴
두 분 고맙습니다. 문학은 어쩌해야하나 고민했는데 저도 저쪽으로 해봐야겠네요. -
reposenap
그외에 드릴 수 있는 팁이라면, 시는 통합형으로 (가)(나)(다) 시가 나오잖아요. 그런데 이 각 시가 각각 다른 주제의 아무 시가 뽑혀서 나온 게 아니라 공통적인 주제가 있어요. 그걸 기준으로 시를 선정하거든요. 그러니 시를 읽으실 때 (가)~(다) 시의 공통적인 주제가 뭔지 생각하면서 읽으시면 시 해석하기가 한결 수워해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