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문에는 어디다가 밑줄을 그어야 하나요?
2013.02.25
배열은 물리적으로 연속된 저장소들을 사용한다. 배열에서는 흔히 그림1과 같이 자료의 논리적 순서와 실제 저장 순서가 일치하도록 자료가 저장된다 이때 원하는 자료의 논리적인 순서만 알면 해탕 포인터 값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바로 접근하여 읽기와 쓰기를 할 수 있다.
그런데 그림1에서 자료 '지리'를 삭제하려면 '한라'를 한 칸 당겨야 하고 가나다순에 따라 '소백'을 삽입하려면 '지리'부터 한 칸씩 밀어야 한다. 따라서,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자료의 순번이 빠를수록 나머지 자료의 재정렬 시간이 늘어난다.
설명문에서 문장간의 관계를 따지기가 약간 애매한데요. 위에서 보시다시피 결론의 연결어 '따라서' 뒤의 문장에 밑줄을 그어도 문제를 풀 때 전혀 도움이 안됩니다. 오히려 그 앞전에 내용이 중요한 경우도 가끔 있고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설명문단의 위치를 기억하라는데 사실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 과학, 기술 등 지문에서 위치 파악을 잘 해야 합니다. 문제에서 언급하는 개념이 지문 어디에 연결되는지 빠르게 찾을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잘 안 되면 아직 부족한 것입니다. 계속 글을 보면서 연습해야 합니다. 이게 logA+logB=logAB 처럼 하나 알아서 바로 되고 그런게 아니니까요. 경험을 쌓아가셔야 합니다.
3. 제가 학생이라면 그런 지문에 약하다고 느끼면 그런 지문 문제들만 싹 모아서 풀어보고 그런 노력을 해 보겠습니다. 화이팅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