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장님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2025.10.27
원장님 안녕하세요! 고2~고3때 나쁜국어 독해기술 + 국정보로 큰 도움을 받고, 현재 상경계열 전공으로 진로 고민중인 대학생입니다.
로스쿨이나 CPA쪽도 관심이 있는데, 지금까지 초중고 대학까지 공부를 쭉 해오면서, 현재까지도 명쾌한 결론 or 나만의 기준이 정립이 안되는 공부관련 질문이 있어서.. 학창시절 교재로 큰 도움을 받았던 원장님께 질문드리려고 합니다!!
크게 3가지가 궁금한데,
==================
1. 개념서, 문제집을 독파했다. or 완전히 내 것으로 소화했다 <- 이렇게 말할 수 있으려면, 어느정도 수준까지는 되야 말할 수 있는건가요? 시험 직전까지 끊임없이 개념서나 정리노트를 반복해야 하는건 당연한거지만, 항상 이 부분에 대해서 궁금했거든요 ㅠㅠ
2. 시험의 본질에 대한 질문일수도 있는데.. 내가 공부량이 압도적으로 많고 시험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했다고 자부했을때, 시험직전 / 시험당일날 어떤 기분이나 생각이 드셨나요?
살면서 시험에서 한번도 자신감 있게 맞이한적이 없던거 같아서.. 원장님처럼 공부를 월등히 잘하시고, 공부도 많이해보신 엘리트 입장에서는 시험당일날 어떤 컨디션이나 감정상태일지 너무 궁금했습니다 ㅠㅠ.. 저도 시험을 준비하게 된다면, 그 지점까지 도달하도록 기준을 세워두려고 합니다.
3. 고등학교 때도 그렇고, 현재 대학생때도 그렇고... 제 짧은 22년 인생에서 경험해본 바에 의하면, '명확한 동기나 목표'를 갖고있는 친구들이 입시에서도 최상위권을 달리거나, 학부 과정에서도 뛰어난 결과를 내는 사람들이더라구요. 저런 친구들이 같이 공부를 할때도, 남들보다 뭔가 끈질기고 절실하게 좀더 하는 경향성이 큰거 같구요.
저는 아직까지도 살면서 저런 동기나 목표가 없이 살아와서 ㅠ 저런 마음가짐이 너무 부러운데.. 원장님도 혹시 학창시절떄부터 명확한 동기나 목표설정을 하면서 공부하셨나요? 아니면 의무적으로 공부 해야되니까 싫어도 공부하신 케이스 이신건가요??
이와 관련해서 조언 좀 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ㅠㅠ
===============
조금 난해한 질문일수도 있는데.. 가슴속에 갖고있던 답답한 부분이였거든요 ㅠ
앞으로도 로스쿨이나 cpa같은 시험에 대해서 나름 진지하게 고민중인데, 조언 해주시면 큰 도움될거 같습니다!

제가 남을 뭐 상담해 줄 그런 지위에 있지 못해서, 그냥 아는 정도로만 답변을 드리면,
1. 어떤 경우이든 그런 상황이 되면 그때가 되어야 그걸 느끼는 순간이 옵니다. 교재이든 뭐든 어떤 특정한 범위에서는 이 정도면 할 만큼 했다고 해야 되나 그런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물론 착각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예전에 학생 시절에 처음 반을 배정 받고 교실에 가면 교실이 되게 넓어 보였는데 점점 익숙해지면 어느 순간부터는 교실이 넓지 않게 느껴지고 구석구석 잘 알 수 있게 됩니다. 그런 경우와 비슷합니다.
2. 그런 적이 잘 없어서 모르겠는데 그래도 시험은 운도 많이 작용하니까 불안하지 않을까요. 어떤 시험인지에 따라 다르겠는데 소수의 인원만 뽑는다든지 전부 경쟁해서 순위를 정하는 시험이면 좀 더 긴장이 되겠고, 일정 점수만 넘으면 된다든지 특정 비율에 들어가는 것만 충족하는 경우라면 다를 거 같습니다.
3. 저는 명확한 동기가 없어서 지금도 그냥저냥 살고 있는데요, 막상 명확한 동기가 있는 사람이 소수인 현실을 고려하면, 명확한 동기가 없다고 너무 괴로워 할 필요는 없는거 같습니다. 누구나 뛰어난 결과를 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소질이 있어도 그걸 몰라서 소질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겠지요. 저는 재수학원에 있다 보니 공부 밖에 할 게 없어서 한 거긴 합니다. 명확한 동기가 있어서 뭔가 자신의 소질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어도 좋은 일이겠지만, 누구나 명확한 동기가 있다고 그렇게 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한 마디로 평가하기도 어렵고 다들 자기만의 삶을 살고 있다 보입니다.
로스쿨이나 CPA가 어떤 성공을 보장해 준다거나, 그렇지 못한 회사원에 비해서 더 좋은 삶을 마련해 주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잘 생각해 보시고, 오히려 로스쿨 등 나오면 진로 설정이 좁아져서 여러 가지 분야의 일을 체험하기가 어려운 단점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